날씨: 68-89°F, scattered T-storm
브라질에서 벌어지는 월드컵경기. 어제로 first-round 경기가 모두 끝나고 16강이 확정되었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 (이란, 일본, 오스트리아) 는 모두 탈락. 아프리카 팀도 거의 전멸. 남미팀들의 약진이 눈에띄고, 스페인을 비롯한 여러 유럽강호들도 집에 돌아가게 생겼다. 한국팀은 예선 마지막날에 최종전을 치르느라, 체재경비가 더 들어 갔겠다.
미국팀은 마지막 경기를 서독과 치뤘는데, 수세에 몰린가운데 1:0 으로 졌지만 그래도 16강에 안착... 다음경기는 10명의 선수로 한국을 요리한 벨기에. 미국팀의 선전을 기대해 본다.
월드컵소사:
1966년 월드컵에선 북한팀이 이탈리아를 이기는 파란을 일으키며 8강 (지금의 16강) 에 진출한 후 폴투갈에 5:3으로 석패. 월드컵 역사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던 '동무'들이다. ^^
침통에 빠진 이탈리아팀 결국 second round 진출에 실패하고 고향에 돌아가니, 썩은 토마토세례가 기다리고 있더라는.... ㅋㅋ
내겐 보는축구는 별 재미가 없다. 직접하면 열심이 뛰어 다니니, 그래서 재믿게 중고등, 대학시절엔 많이 했었는데. 지금은 골장면만 모은 하일라이트만 보게된다.
Friday, June 27, 2014
Wednesday, June 18, 2014
제934회 미국에서 살고 있는데, 가족들과 떨어져 사는 게 슬퍼요
외국에 사는 사람들 치고, 이런 마음을 안 가져 본 사람은 드물 것이다. 스님 말씀은 메정하게 들리는 것 같지만, 예리하게 우리 마음의 정곡을 찌른다.
Monday, June 16, 2014
Wednesday, June 11, 2014
so beautiful bug 26: 반딧불
날씨: 비, 갬 (64-80°F)
몇 주간 가뭄에서 고생하다가, 이번 주는 자주 단 비가 내려 준다.
오월 중순경 부터 반딧불이 보이기 시작하더니, 이제 절정에 이른 느낌이다.
형(설)지공을 들여볼까 하고 초저녁에 나가 열마리정도를 잡아 메이슨 jar 에 넣어 두었는데...
실망스럽게도 포로 상태에선 *빤짝*하지 않으니... 형-지공은 믿기 힘들다!
반디는 Lightning Bug 또는 firefly 라고 하는데,
재미난 것은, 한자에서도 (螢) '불 화 火' 자가 두개가 있음은, '빤짝 빤짝' 거림을 글자에 표현하려고 했음일까?? 옜 사람의 지혜와 익살이 였뵤인다. 한국말의 근원은 무었일까? 아마도 '불'하고 관계가 있을 것 같은데...
계통적으로 Family Lampyridae 에 속하며, 두가지 흔히 보이는 것은:
genus Photinus 와 Photuris
발광기관이 abdomen 끝에 옅은 노란색으로 보이는 두개의 segments에 장전되어 있다.
발광의 기작은 잘 연구가 되어 있다. 쉽게 예기하자면 luciferase 라는 효소가 luciferin 이라는 물질과 반응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light energy 가 나오는 것이다. 이 light 은 열 손실이 거의 없는 거의 100%의 효율을 자랑한다 (cool light). 이렇듯 생명체가 내는 빛을 bioluminescence 라고 한다.
한국에 살 때는 반디를 본적이 거의 없었다. 공해가 그 원인이기도 했고, 반디도 서을같은 대도시에선 살기 힘들었을 것다. 그래서 미국에 와서 신기했던 것중의 하나가, 거의 어디든 (심지어 뉴욕에서도) 반딧불 구경을 할 수 있다는 것.
대게의 사람들은 곤충을 싫어(혐오)하는데...
한 밤중에 고운 빛을 빤짝해 주면 참 로맨틱하다. 그러니 반디는 옛날부터 모든 사람들의 사랑을 받은 유일한 곤충이 아닐까...
선조들의 학구열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ㅉㅉ..
선조들의 학구열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ㅉㅉ..
![]() |
http://www.jc-net.net/data/cheditor4/0903/3gTQkjHdNPI2jeS.jpg |
Friday, May 30, 2014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까?
날씨: 66-86°F
How long can humans sustain?
원인이 무었이든, 나는 인류의 종말을 믿는다. Asteriod 가 지구와 충돌할 수 도있고.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이유를 들자면, "인구증가". 모든 사회, 경제, 환경, 정치 등등의 문제는 결국 인구증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수십년 전만해도 출산이 인구증가의 작접 원인이였는데, 최근 출산이 감소 했다지만 의료기술의 발달로 100세새상을 바라보니 출산율 감소효과도 없어져 버렸다.
고령화시대에, 소수의 젊은이들이 열심히 일해서 다수의 노인들을 먹여 살려야하니 허리가 휘고, 그러니 자식 낳아 기르며 고생하려는 젊은이들은 줄어들 것이 니, 출산율은 더 떨어질 것이다. 그 여파는 노인들에게 전수될 것이고, 결국엔 사회불안과 더블어 인구의 급속한 감소로 이어지리라 예상된다.
정치가들은 경제유지를 위해선 인구가 증가해야한다는 논리로 출산율 장려를 위한 인센티브까지 제공한다. 정말로 미친 짓인데, '환경을 위해 인구를 줄여 조금 못 살자'라고 주창하는 후보가 뽑힐리 없다는 것은 불문가지....
인구의 하향곡선이 언제쯤 일어날 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1-20년 내에 정점을 찍고 내려 갈 것이다. 하지만 그동안 지구 온난화는 중국 인도 그리고 다른 개도국의 급속한 산업화로 더욱 가속될 것이고, 그로 인한 환경/기후 변화는 이미 되 돌아올 수 없는 길로 들어 섰다. 더 큰 문제는 변화의 속도 (예로, 북극의 ice melting, sea level increase, global warming) 가 더 가속화되고 있다는 것. 기후변화로 농산물의 생산은 급격히 줄어들 것이다. 그 결과는 불문가지..
약 50년 후에 석유자원은 바닥이 날 것이라 예상한다. 이미 석유 생산속도는 정점에 도달했고 (Hubbert's peak), 석유값은 점점 오를 것이다. 수백 수천만년에 걸쳐 만들어진 그 엄청난 양의 원유를 불과 200여년에 다 파먹었으니, 만족을 모르는 인간들은 이 지구에겐 정말로 암적인 존재아닌가?
이 모든 문제는 결국 인구와 직접 연결된다. 지구 보전을 위해선 인구는 무조건 줄어야 한다. 다른 수는 없다. 하지만 인구가 조금씩 준다해도 이미 급속도로 열악해져 가는 환경에 적응해 살아 나갈수 있을까?!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까?
참 좋은 세상에 태어 났음을 고맙게 느끼면서, 내 자식 (또는 그 다음) 세대의 암울한 장래가 걱정이지만, 그 또한 어쩔 수 없는 너의 팔짜인걸.
How long can humans sustain?
원인이 무었이든, 나는 인류의 종말을 믿는다. Asteriod 가 지구와 충돌할 수 도있고.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이유를 들자면, "인구증가". 모든 사회, 경제, 환경, 정치 등등의 문제는 결국 인구증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수십년 전만해도 출산이 인구증가의 작접 원인이였는데, 최근 출산이 감소 했다지만 의료기술의 발달로 100세새상을 바라보니 출산율 감소효과도 없어져 버렸다.
고령화시대에, 소수의 젊은이들이 열심히 일해서 다수의 노인들을 먹여 살려야하니 허리가 휘고, 그러니 자식 낳아 기르며 고생하려는 젊은이들은 줄어들 것이 니, 출산율은 더 떨어질 것이다. 그 여파는 노인들에게 전수될 것이고, 결국엔 사회불안과 더블어 인구의 급속한 감소로 이어지리라 예상된다.
정치가들은 경제유지를 위해선 인구가 증가해야한다는 논리로 출산율 장려를 위한 인센티브까지 제공한다. 정말로 미친 짓인데, '환경을 위해 인구를 줄여 조금 못 살자'라고 주창하는 후보가 뽑힐리 없다는 것은 불문가지....
인구의 하향곡선이 언제쯤 일어날 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1-20년 내에 정점을 찍고 내려 갈 것이다. 하지만 그동안 지구 온난화는 중국 인도 그리고 다른 개도국의 급속한 산업화로 더욱 가속될 것이고, 그로 인한 환경/기후 변화는 이미 되 돌아올 수 없는 길로 들어 섰다. 더 큰 문제는 변화의 속도 (예로, 북극의 ice melting, sea level increase, global warming) 가 더 가속화되고 있다는 것. 기후변화로 농산물의 생산은 급격히 줄어들 것이다. 그 결과는 불문가지..
약 50년 후에 석유자원은 바닥이 날 것이라 예상한다. 이미 석유 생산속도는 정점에 도달했고 (Hubbert's peak), 석유값은 점점 오를 것이다. 수백 수천만년에 걸쳐 만들어진 그 엄청난 양의 원유를 불과 200여년에 다 파먹었으니, 만족을 모르는 인간들은 이 지구에겐 정말로 암적인 존재아닌가?
이 모든 문제는 결국 인구와 직접 연결된다. 지구 보전을 위해선 인구는 무조건 줄어야 한다. 다른 수는 없다. 하지만 인구가 조금씩 준다해도 이미 급속도로 열악해져 가는 환경에 적응해 살아 나갈수 있을까?!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까?
참 좋은 세상에 태어 났음을 고맙게 느끼면서, 내 자식 (또는 그 다음) 세대의 암울한 장래가 걱정이지만, 그 또한 어쩔 수 없는 너의 팔짜인걸.
Thursday, May 15, 2014
오줌예찬
날씨: 45-62°F
한 차례 비가 내리곤 오늘은 초봄 날씨다. 그동안 초여름날씨여서 꽤 더웠는데, 찬기류가 몰려와 제법 쌀쌀함을 느끼게 해준다.
뒷 마당이 크다보니, 산책하다가 (territory marking도 할 겸) 나무 속에서 슬쩍 슬쩍 실례를 가끔했는데, 인터넷을 함 찻아보니, 오줌이 정말로 좋은 비료라고 소개되어있다.
오줌을 비료로 쓰는 것을 신조어로 "Peecycling" 이라 한다. ㅋㅋ.
http://www.nwedible.com/2013/03/how-to-use-pee-in-your-garden.html
왜 좋을까?
1) 공짜다.
2) 풍부한 질소 함류 (Typical Western Diet pee has an NPK ratio of about 11-1-2). 어느 화학비료 못지않다. 오줌의 주 성분은 Urea 라는 compound 인데, 실제로 이 물질은 화학비료에 질소 소-ㄹ스로 많이 들어 간다고 함.
3) 물 절약 (한 번 flush 에 4-5 리터의 깨끗한 물이 소모. 보통 가정에서 하루에 몇 번 flush 할까?) 내가 사는 이 곳에선 하수세가 상수세의 두배다.
4) 정수 비용 절감. 나간 물은 다시 정수처리되어 돌아온다. 여러 유럽 나라에선 오줌을 따로 분리 시키는 좌변기가 개발 시범적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사진).
5) 깨끗하다. 그러니 더 안전하다. 똥거름엔 온갓 미생물, 기생충들이 득실....
이런 사실을 읽고나니, 화장실에서 쉬야할 때마다 아까운 생각이 든다. 악! 내 비료... ㅎㅎ
한 차례 비가 내리곤 오늘은 초봄 날씨다. 그동안 초여름날씨여서 꽤 더웠는데, 찬기류가 몰려와 제법 쌀쌀함을 느끼게 해준다.
뒷 마당이 크다보니, 산책하다가 (territory marking도 할 겸) 나무 속에서 슬쩍 슬쩍 실례를 가끔했는데, 인터넷을 함 찻아보니, 오줌이 정말로 좋은 비료라고 소개되어있다.
오줌을 비료로 쓰는 것을 신조어로 "Peecycling" 이라 한다. ㅋㅋ.
http://www.nwedible.com/2013/03/how-to-use-pee-in-your-garden.html
왜 좋을까?
1) 공짜다.
2) 풍부한 질소 함류 (Typical Western Diet pee has an NPK ratio of about 11-1-2). 어느 화학비료 못지않다. 오줌의 주 성분은 Urea 라는 compound 인데, 실제로 이 물질은 화학비료에 질소 소-ㄹ스로 많이 들어 간다고 함.
3) 물 절약 (한 번 flush 에 4-5 리터의 깨끗한 물이 소모. 보통 가정에서 하루에 몇 번 flush 할까?) 내가 사는 이 곳에선 하수세가 상수세의 두배다.
4) 정수 비용 절감. 나간 물은 다시 정수처리되어 돌아온다. 여러 유럽 나라에선 오줌을 따로 분리 시키는 좌변기가 개발 시범적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사진).
![]() |
http://www.treehugger.com/bathroom-design/after-smart-grids-smart-sewage-urine-separating-nomix-toilet-gets-thumbs-up-in-7-european-countries.html |
5) 깨끗하다. 그러니 더 안전하다. 똥거름엔 온갓 미생물, 기생충들이 득실....
이런 사실을 읽고나니, 화장실에서 쉬야할 때마다 아까운 생각이 든다. 악! 내 비료... ㅎㅎ
Thursday, May 1, 2014
샐리맨더
날씨: sunny 46-67°F, 비 온뒤 쫌 쌀쌀.
가든 테두리를 하려고 시내가에서 쓸 만한 돌들을 고르다가 락에 무더기로 붙어 있는 알을 보고...
°/° |°°|
우아 도롱뇽알이닷!!!
발생생물학의 재료로 오랬동안 쓰여온 이 넘들.
고이 모셔다가 살살 떼어서 유리그릇에 모신 후에 관찰해 보기로 했다.
하루 지나니 벌써 알에서 깨어난 larva 가 한 두 마리 보인다.
자세히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눈 밑으로 아가미가 나무가지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더 자세히 보면, 적혈구들이 한줄로 이동하는 것을 볼수가 있다.
재미난 것은, 아직 다리가 발달되기 전이어서, 누워있다는 것 (가장 발생이 빠른 놈은 앞다리 뒷다리가 될 돌출부위가 조금 나와있다). 그래서 온 몸을 채찍같이 움직여 짧은 거리를 수영하는 정도.
그리고 아직 입이 형성되지 않은 것 같다. 배 속에 요크를 많이 저장해 놓고 에너지원으로 쓰는 모양이다.
후기: 며칠 물을 갈아 주면서 관찰했는데:
1) 아가미 (gill) 에 있는 모세관을 통해 적혈구들이 일렬로 빠르게 이동한다. 산소공급에 중요하리라.
2) 앞다리에서 손가락이 나왔다. ㅎㅎ
여기 까지 보곤, 방생했다.
날이 더워지니 물이 쉽게 썩어버려 몇마리가 죽어있는 것을 보곤, 더 이상은 집에서 키울 자신이 없어서....
가든 테두리를 하려고 시내가에서 쓸 만한 돌들을 고르다가 락에 무더기로 붙어 있는 알을 보고...
![]() |
옆은 사이즈 비교를 위한 quarter. 약 4-50개의 알이 붙어있다. |
우아 도롱뇽알이닷!!!
발생생물학의 재료로 오랬동안 쓰여온 이 넘들.
고이 모셔다가 살살 떼어서 유리그릇에 모신 후에 관찰해 보기로 했다.
하루 지나니 벌써 알에서 깨어난 larva 가 한 두 마리 보인다.
자세히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눈 밑으로 아가미가 나무가지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더 자세히 보면, 적혈구들이 한줄로 이동하는 것을 볼수가 있다.
재미난 것은, 아직 다리가 발달되기 전이어서, 누워있다는 것 (가장 발생이 빠른 놈은 앞다리 뒷다리가 될 돌출부위가 조금 나와있다). 그래서 온 몸을 채찍같이 움직여 짧은 거리를 수영하는 정도.
그리고 아직 입이 형성되지 않은 것 같다. 배 속에 요크를 많이 저장해 놓고 에너지원으로 쓰는 모양이다.
후기: 며칠 물을 갈아 주면서 관찰했는데:
1) 아가미 (gill) 에 있는 모세관을 통해 적혈구들이 일렬로 빠르게 이동한다. 산소공급에 중요하리라.
2) 앞다리에서 손가락이 나왔다. ㅎㅎ
여기 까지 보곤, 방생했다.
날이 더워지니 물이 쉽게 썩어버려 몇마리가 죽어있는 것을 보곤, 더 이상은 집에서 키울 자신이 없어서....
Subscribe to:
Posts (Atom)